한국학중앙연구원, 일제강점기 이후 한국의 환경, 의료, 기술의 발전을 탐구한 『Korea Journal』 특집기획 발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2-10-12 09:57본문
“Korean Science since the Colonial Period(일제강점기부터 쓰여진 한국의 과학기술사)”를 주제로 총 10편의 논문 수록
공중보건, 가족계획사업, 자연보호운동, 수문공학을 중심으로 한국의 과학기술사를 집중 조명
해방과 한국전쟁의 혼란 속에서 진행된 한국의 과학기술사의 발전 방향과 함의 고찰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안병우)은 일제강점기 및 한국전쟁을 거치며 한국의 환경, 의료, 기술의 발전이 어떤 방향에서 설계되었는지 분석적으로 탐구한 영문 학술지 『Korea Journal』 62권 3호를 발간했다.
이번 특집호의 주제는 “Korean Science since the Colonial Period(일제강점기부터 쓰여진 한국의 과학기술사)”다.
이 분야는 연구기간이 비교적 짧은 만큼 그 성과도 적은 편이기 때문에 이번 특집호의 발간은 관련 연구의 외연을 넓힌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아울러, 해방 이후 현대 한국사회의 과학기술 발전에 숨겨진 함의를 비판적으로 접근한다는 점에서 국내외 관련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특집기획은 과학기술사 중에서도 △공중보건, △가족계획사업, △자연보호운동, △수문공학(水門工學)에 집중했다.
먼저 공중보건 개편의 이면에 관해서는 “Revisiting Americanization: Focusing on the Reformation of Public Health in South Korea, 1945–1960(전후 한국에서 진행된 미국 중심의 공중보건 연구)”에서 다뤘다. (박지영, 인제대 의과대학 교수)
해방 후 한국 공중보건의 개편은 식민 잔재를 청산하고 미국식 모델로 전환하기보다 식민지 시기부터 미국의 영향을 받아 온 소수 의사들이 보건 행정과 학술 활동을 주도하면서 진행됐다.
저자는 공중보건의 개편 과정에서 식민지 유산과 미국에서 도입된 지식이 관계 맺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공중보건의 미국화가 식민지 잔재와의 상호작용 속에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1962년 전후 진행된 가족계획사업은 “Revisiting Korean Family Planning (FP): Population and the pre-1962 Context(전후 진행된 한국 가족계획사업 연구)”에서 다뤘다. (존 디모이아 [John P. Dimoia], 서울대 교수)
근대 한국에서 진행된 가족계획사업의 실무자들은 일제강점기에 설립된 의료 기관에서 훈련 받은 사람들이 주축이었다. 이들이 한국전쟁 이후 가족계획사업을 담당하게 되자 미국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신의 사업을 정당화하고 합리화할 수 있는 근거를 찾아냈다.
저자는 일본 제국주의하에서 받은 훈련과 교육을 바탕으로 미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진행된 한국의 가족계획사업을 분석하며, 한국의 인구계획사업이 미국 사회과학에 내재된 구조를 충실히 반영했음을 지적한다.
국내 자연보호운동은 “Reconfiguring Mountain Expeditions: The Transwar Origins of the Korean Nature Conservation Movement, 1926–1962(한국 자연보호 운동의 전쟁적 기원 연구)”에서 다뤘다. (현재환, 부산대 교수)
1970년대 이후 국내 자연보호 운동을 주도한 한국자연보존협회의 주요한 기원이 해방 이후 한국산악회 소속 생물학자들이 주도한 탐사산행에서의 학술 조사와 보전 활동임을 살핀다.
특히 저자는 해방 이후 군부와의 긴밀한 협력하에 탐사산행이 진행되거나 탐사산행이 보전 활동과 연결되는 양상 등은 냉전적 현상이 아니라 일제강점기 때부터 점진적으로 형성된 전쟁의 산물로 봐야 한다고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1960년대 후반부터 새롭게 활용된 수문공학의 성격은 “Carving Nature Like a Piece of Artwork”: Hydrological Engineers’ Identity-building in Modern South Korea(예술 작품처럼 자연을 조각한 현대 수문공학 연구자들의 정체성 연구)”에서 다뤘다. (박서현, 싱가폴국립대 연구원)
1960년대 후반 국토 건설 사업을 주도했던 기술 관료들은 대형 댐 건설과 같은 자연에 대한 기술적 개입이 국가 개발을 이끌 것이라 자신했다.
저자는 기술로 자연을 정복할 수 있다는 근대적 선언의 이면에 식민지 시기의 유산과 냉전시기 서구로부터 유입되는 지식 사이에 불안정하게 위치했던 한국의 수문공학을 설명한다.
해당 자료는 한국학중앙연구원 누리집(www.aks.ac.kr) > 출판·자료 > 정기간행물 > Korea Journal 게시판을 통해 누구나 무료로 확인할 수 있다.
- 이전글한류와 한국학 미래를 위해 국내외 각계 전문가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모인다 22.08.24
- 다음글전 세계 130여명 한국학 연구자들, 20일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모인다 22.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