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칼럼 5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 구름 많음
    • 5.0'C
    • 2025.04.01 (화)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역사/칼럼

  • 27
    이경민 묘비 거북 받침의 내력 [이경민 묘비 거북 받침의 내력]   이경민(1578~1652)은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 자는 여은, 호는 양촌이다. 고등동 산37-1번지에 묘소가 있는데 비석의 받침돌이 매우 독특한 거북이의..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2-01 10:59:21
  • 26
    판교근린공원 내 유적(집터 유적) [판교근린공원 내 유적(5기)]   지정번호: 성남시향토문화재 제13호소재지: 판교동 553 판교근린공원 내 유적지수량: 부뚜막, 숯가마, 기와가마, 도기가마, 담장건물지   판교근린공원 내..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2-01 10:57:20
  • 25
    판교 통일신라무덤과 고려시대 무덤 [판교 통일신라·고려시대 무덤]   지정번호: 성남시향토문화재 제12호소재지: 백현동 423 낙생 대공원 내 유적지   낙생 대공원에 이전 복원된 석곽묘, 석실묘, 토광묘는 통일신라시대부터 ..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2-01 10:55:18
  • 24
    왕자들이 판교에서 머물렀다 [왕자들이 판교에서 머물렀다]   임진왜란이 터진 다음 해에 왕자 임해군과 순화군이 함경도에서 가또오 기요마사에게 포로로 잡히게 되었다. 그래서 왕자들이 포로가 되어 있는 동안에는 전쟁이 조금 잠잠해지기..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24 14:13:35
  • 23
    낙생역과 낙생행궁 이야기 [낙생역과 낙생행궁]   성남 판교에서 구석기시대 유적이 확인되었을 뿐 아니라 삼국시대 고구려와 백제의 고분이 확인되었는데 특히 백제식 고분은 훼손되지 않고 온전히 발굴된 사례가 지극히 드물다는 점에서 ..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24 14:12:29
  • 22
    판교 마당바위 이야기 [판교 마당바위]   판교에는 청계산의 한 자락에서 뻗어 내린 금토산이 있는데, 금토산을 중심으로 그 둘레에 판교도서관, 판교청소년수련관, 판교동주민센터, 낙생초등학교, 낙원중학교, 판교박물관 등의 주민..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24 14:10:24
  • 21
    효녀 도리장과 판교역 이야기 [효녀 도리장과 판교역]   판교의 낙생에는 국왕이 군사훈련 때 머물던 낙생행궁이 존재하였고, 구석기 시대부터 백제시대 고분과 고구려식 고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유적이 연속으로 분포하고 있다. &nb..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24 14:09:00
  • 20
    판교 백제, 고구려 무덤 [판교 백제·고구려 무덤]   지정번호: 성남시향토문화재 제11호소재지: 판교동 499(판교역사공원 판교박물관 내)지정년월일: 2012. 11. 21   판교지역은 삼국시대에 백제의 땅이었지..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24 14:07:34
  • 19
    성남은 숯 굽던 마을 [성남은 숯 굽던 마을]   탄천은 이 지역에서 숯을 굽는 동네인 숯골이 있었기 때문에 숯내라고도 하고 한문으로는 탄천이라고 하였다. 숯골은 한문으로 탄동(炭洞)이라도도 쓰고, 남한산성 주변에는 광주 쪽..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24 14:05:49
  • 18
    탄천의 가을은 아름답다 [탄천의 가을은 아름답다]   중봉 조헌(1544~1592)은 임진왜란이 일어날 것을 미리 알았던 선지자였다. 그가 옥천 현감으로 있으면서 전쟁을 미리 준비하였고, 부인이 세상을 뜨자 아들이 고향인 김포..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24 14:04:39
  • 17
    탄천 전투에서 전사한 최진립의 이야기 [탄천 전투에서 전사한 최진립]   최진립은 1568년(선조 1년)에 출생하여 1636년(인조 14년) 병자호란 때 전사하였다. 최진립의 자는 사건(士建)이며, 본관은 경주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아우..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24 14:03:33
  • 16
    탄천의 다리가 무너지다 [탄천의 다리가 무너지다]   한강과 탄천 일대는 옛날부터 군사훈련장으로 중요했다. 백제가 한성에 도읍을 정한 후 한강 일대에서 수시로 군대 사열을 크게 벌였던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에 한양에 도읍을 정..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24 14:01:40
  • 15
    판교원을 새로 지은 조운흘 [판교원을 새로 지은 조운흘]   조운흘(1332~1404)은 풍양 조씨인데, 고려 말 공민왕 때 과거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지낸 끝에 법총랑(法摠郞)을 맡았다가 물러나 상주 노음산 아래에 살았다. 우..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24 12:14:16
  • 14
    600년 이어오는 우정, 둔촌 이집과 천곡 최원도 [600년 이어오는 우정, 둔촌 이집과 천곡 최원도]   경기도 광주를 본관으로 하는 광주 이씨의 중시조 이집(李集)은 이자성의 7세손인 당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5형제가 모두 과거..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23 14:09:55
  • 13
    한서린 망경대의 송산 조견 [한 서린 망경대의 송산 조견]   조윤(1351~1425)은 고려 말엽의 문신으로서 이성계를 도와 조선 건국에 공을 세운 공신의 한 사람인 조준의 아우이다. 일찍이 형인 조준이 혁명에 가담하려는 것을 ..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23 14:07:46
  • 12
    금릉 남공철의 장원급제 꿈 [금릉 남공철의 장원급제 꿈]   금릉 남공철(1760~1840)이 아직 과거에 급제하기 전에 그 부인이 잠을 자다가 뜰 안에서 시신(屍身)을 거두어 후원(後園)에다가 장사 지내는 꿈을 꾸고서 매우 좋지..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23 14:05:29
  • 11
    영원히 지지않는 별, 남상목 의병대장 [영원히 지지 않는 별 남상목 의병대장]   남상목(1876~1908) 의병대장의 본관은 의령이고, 낙생 하산운리(판교 너더리) 마을에서 태어났고, 호는 동천, 다른 이름은 문일(文一)이다.  ..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23 14:03:45
  • 10
    청계산의 호랑이 윤치장 의병장 [청계산의 호랑이 윤치장 의병장]   윤치장(1876~1971) 의병장의 본관은 남원이고 주민등록상의 이름은 재옥이며 금토리 94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고 ..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23 14:02:04
  • 9
    3대에 걸친 충절, 삼세삼충 [3대에 걸친 충절, 삼세삼충]   청계산에는 고려말의 충신 송산 조견과 관련된 이야기가 다수 전해온다.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산30번지에는 성남시향토문화재 제3호인 송산 조견의 묘역이..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23 14:00:11
  • 8
    청계산 이야기 [청계산 이야기]   청계산(淸溪山)은 일명 청룡산(靑龍山), 청량산(淸凉山)이라고도 한다.   조견(趙狷)이 고려조 재상으로 고려의 국운이 장차 기울어지는 것을 보고 청량산에 은거하니 그 ..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23 13:57:58
  • 7
    영날길에 남겨진 역사 [영남길에 남겨진 역사]   영남길은 서울과 영남지방을 이어주던 조선시대의 건선도로 노선으로서 서울에서 출발하여 양재역(말죽거리)→달내네 고개→ 삼거리→ 판교원→ 머내→ 풍덕천→ 구성→ 용인→ 양지를 거..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18 21:27:45
  • 6
    천림산 봉수 터 이야기 [천림산 봉수 터]   봉수란 횃불로 낮에는 연기를 피워서 신호를 전달하였고 비가 오거나 흐린 날에는 화포나 북, 각성(나팔) 또는 깃발로 알리거나 봉수군이 직접 달려가서 보고하도록 했던 국방 통신시설이..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18 21:26:04
  • 5
    성내미 지명의 유래 [성남(성내미) 지명 유래]   풍수지리는 우리나라의 아주 오랜 옛날부터 내려오는 전통 지리학으로 시대별 왕조의 교체기나 중요한 국책사업에는 반드시 풍수지리학의 검증을 받아야 했다.   역대..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18 21:24:06
  • 4
    낙생역의 의미 판교지역은 옛날에 낙생행궁, 낙생역, 판교역 등이 위치하고 있어서 서울과 지방을 이어주는 매우 중요한 교통로였다.   특히 양재역과 낙생역을 잇는 길은 한양과 부산을 연결하는 영남대로가 시작되는 곳으로 ..
    역사/칼럼 | 김형미 | 2019-01-18 21:21:54

검색




5

2

1

6

7

4

3

3

2

3

4

7
04-01 00:30 (화) 발표

ss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미금일로 90번길 11 202:102 전화번호 010-7573-6512 발행인/편집인 : 김형미 eurim0zoo@naver.com
제호:뉴스채널S 인터넷 신문 등록번호 : 경기 아51547 /등록일 : 2017년 04월 27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형미
뉴스채널S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7 뉴스채널S. All rights reserved. mail to droh89@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