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부터 농업인 과수화상병 방제교육·예방 수칙 의무 본격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5-02-04 09:53본문
식물방역법 개정에 따라 올해부터 과수화상병 예방을 위한 농업인들의 방제 교육 이수와 예방 수칙 준수 의무가 강화된다.
‘과수화상병’은 세균에 의해 사과나 배나무의 잎, 줄기, 꽃, 열매 등이 불에 그슬린 것처럼 갈색이나 검은색으로 말라 죽는 병으로, 사과·배 등 장미과 187여 종에서 발병한다. 전파속도가 빠르고 치료약제가 없어 사전 예찰과 신속한 현장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한 세균병이다.
과수화상병 예방을 위한 농업인 교육 및 예방 의무 사항은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간의 계도기간을 거쳐, 올해 1월부터 본격 시행됐다. 농가는 과수화상병 등 병해충에 대해 연간 1시간 이상의 방제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농작업 전후 소독 ▲예방 약제 적기 살포 ▲이력 관리된 묘목 구입 ▲주기적 예찰 시행 등의 예방 수칙도 준수해야 한다.
의무 사항을 미준수하는 경우 과수화상병으로 인한 손실보상금이 감액된다. 감액 기준은 과수화상병 발생 미신고 시 60%, 조사 거부 및 방해 시 40%, 농작업자를 포함한 예방 교육 미이수 시 20%, 예방 수칙 미준수 시 10% 등으로 구체화 됐다.
과수화상병 예방 교육을 희망하는 농업인들은 시군농업기술센터에서 추진하는 ‘새해농업인실용교육’을 통해 대면 교육을 이수할 수 있다. 비대면 교육은 농촌진흥청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누리집(hrd.rda.go.kr)을 통해 들을 수 있다.
이준배 경기도농업기술원 기술보급과장은 “농작업 소독 관리, 예방 약제 살포, 궤양 제거 등 예방 수칙 준수사항을 꼭 이행해 주시고, 관련된 내용을 반드시 영농 기록장에 기재해달라”며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도 농업인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교육과 홍보에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