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교통문제 해소 나선 경기도, 지역실정 맞는 광역교통체계 청사진 그렸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1-08-13 13:46본문
지역특성에 맞는 맞춤형 광역교통체계를 구축해 도내 광역교통문제 개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경기도 차원의 청사진이 나왔다.
경기도는 지난해 4월부터 올해 8월까지 경기연구원 등을 통해 추진한 ‘경기도 광역교통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용역’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지속적 인구유입과 신도시 개발에 따른 도내 광역교통문제를 개선하고, 중앙정부 광역교통계획에만 의존하던 방식에서 탈피해 도 자체적으로 지역실정에 맞는 실효성 있는 광역교통체계를 구축하데 목적을 뒀다.
실제 교통량을 분석을 토대로 문제점을 도출한 결과 ①서울 중심의 공간구조, ②광역화로 인한 통근거리 및 통근시간 증가, ③승용차중심의 도로교통체계 유지, ④대중교통 이용불편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른 연구내용을 살펴보면, ‘경기도 거점 간 광역교통체계 구축을 통한 지역발전 유도’라는 비전을 설정, ‘광역교통 패러다임의 전환과 빠르고 편리한 경기도 광역교통’ 목표를 이루기 위한 4가지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첫 번째로, ‘이동이 편리하고 안전한 스마트 도로체계 구축’ 차원에서 광역 간선도로 효율적 확충, 자율주행시대 대비 안전 도로 운영, 친환경·수익성 도로사업 추진 등이 과제로 제시됐다.
두 번째로 ‘경기도 지역간 철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지역간 균형있는 철도 서비스 제공, 철도운영 적자 개선 및 운용 효율화, 철도시설 체계적 유지관리 등이 중점과제로 도출됐다.
세 번째로 ‘지역별 교통거점 및 연계교통체계 구축’을 위해 GTX 복합환승시설의 지역 교통거점화, 원활한 환승을 위한 운영체계 정비, 효율적 연계교통체계 구축 등의 과제가 포함됐다.
네 번째로 ‘철도망 보완 BRT 체계 구축’ 차원에서 철도 접근성 향성을 위한 BRT 체계 구축, 철도 수준 S-BRT 운영, BRT 운영 주체 및 재원분담 구조 재정립 등의 과제가 제안됐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도내 31개 시군의 통행패턴과 교통량 등을 분석해 남서부(안양 등 8개 시군), 남동부(성남 등 6개), 남부(수원 등 5개), 북동부(양평 등 3개), 북서부(고양 등 3개), 북부(의정부 등 6개) 총 6개 권역으로 나눠 대안을 제시한 것이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시군 의견을 수렴해 광역교통시설별 주요 후보사업을 선정, 상위 관련 계획 중첩 사업 분석을 통해 효율성이 낮은 사업을 제외한 총 33개 권역별 사업(도로 9개, 철도 8개, BRT 6개, 환승시설 10개)이 제시됐다.
남서부권에서는 군포-성남간 고속도로 등 3개 사업, 남동부는 성남광역BRT 및 산성대로 S-BRT 등 4개 사업, 남부는 신안산선 연장 등 3개 사업, 북서부는 김포골드라인 검단오류 연장 등 4개 사업, 북부는 장암역-동의정부IC개설 등 3개 사업이 권역별 주요 광역교통사업으로 도출됐다.
해당 사업으로 인한 기대효과를 분석한 결과, 도로 부문의 경우 차량들의 이동거리가(VKT(백만대·㎞)) 1.2%가 줄고, 철도 및 BRT의 경우 일 통행 수단전환량이 140,479(통행/일), 13,195(통행/일)로 나타나 대중교통시설의 이용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돼 계획 실현 시 ‘대중교통중심의 광역교통체계 전환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나타났다.
도 관계자는 “이번 학술연구가 재정지원 등에 법적 영향력은 갖고 있지 않지만, 향후 광경기도만의 교통문제를 개선하고 체계적인 광역교통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방침”이라며 “연구에서 제시한 제도 개선방안은 실무 검토를 거쳐 정부에 법령개정을 건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