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시대에 걸맞은 ‘경기도형 평화통일교육’의 중장기 청사진 나왔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0-05-12 19:40본문
한반도 평화시대에 걸맞은 ‘경기도형 평화통일교육’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추진을 위한 5개년 계획이 제시됐다.
경기도는 12일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신정현·이혜원 도의원, 김진환 통일교육원 교수 등 관계자 14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도 평화통일교육 중장기 계획(2020~2024) 수립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는 과거 냉전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국가중심의 일방적 안보이념을 탈피, 평화통일에 대한 사회 통합적 교육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안 모색을 위해 경기도가 전국 지자체 최초로 추진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대진대 산학협력단이 지난해 9월부터 수행해온 연구용역의 최종 결과를 발표하고 이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발표된 내용을 살펴보면, ‘한반도 평화시대를 선도하는 경기도민의 평화감수성 함양’이라는 비전 아래 ①지속가능한 평화통일교육, ②지리적·역사적·미래 지향적 평화통일교육, ③평화통일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공감대 확산, ④남북화해협력 주도 지역적 역량 강화, ⑤국내외 거버넌스 구축 등 5가지 추진방향이 제시됐다.
우선 지속가능한 평화통일교육을 위해 공무원과 청소년, 북한이탈주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대상을 아우르는 ‘통일교육의 체계적 확장’과, 통일교육을 전담할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 등이 정책과제로 제시됐다.
지리적·역사적·미래 지향적 평화통일교육에 대한 과제로는 ‘접경지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다양한 현장학습지역 발굴’ 등이 제안됐다.
평화통일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공감대 확산을 위해서는 ‘도민 참여형 정책소통플랫폼 구축’과 더불어,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통일교육 소통플랫폼 이용 문화 조성’ 등의 과제를 추진해야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남북화해협력 관련 지역적 역량 강화 차원에서는 도 차원에서 ‘관련 법·제도 보완·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고, ‘안정적 재원 조달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과제가 제시됐다. 아울러 새로운 교육환경에 맞춘 ‘뉴미디어 기반의 프로그램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국내외 거버넌스 구축 차원에서는 수직(중앙정부-경기도-시군) 또는 수평(민-관-학) 네트워크와 같은 ‘다층적 협력 인프라’를 구축하고, 해외 지자체·기관들과의 교류협력으로 통일교육이 발전해야 한다는 과제도 제안됐다.
특히 2020년부터 2021년까지 1·2년차에는 ‘관련 기반조성’에, 2022년부터 2023년까지 3·4년차에는 ‘역량강화’에, 2024년에는 ‘정착 및 발전’에 초점을 두고 평화통일교육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도 함께 제기됐다.
경기도 관계자는 “이번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평화통일의 보편성과 지역적 특수성을 반영한 경기도형 평화통일교육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겠다”며 “체계적인 평화통일교육 시행으로 평화통일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도모하고, 평화공존에 기여하는데 초점을 둘 것”이라고 밝혔다.